스드메 깜깜이 계약, 이제 끝! 표준계약서로 똑똑한 결혼 준비법
예비부부 필독! 스드메 표준계약서로 피해없이 결혼준비하는법
결혼을 앞둔 많은 예비부부들에게 '스드메 계약'은 가장 고민스러운 부분 중 하나입니다.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를 패키지로 구성한 이 계약은 편리한 만큼 깜깜이 계약으로 인한 피해 사례도 끊이지 않는데요. 이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정한 스드메 표준계약서를 통해, 더 이상 불투명한 계약에 속지 않아도 됩니다.
1. 스드메 계약, 왜 깜깜이일까?
스드메 계약은 대부분 웨딩플래너를 통해 패키지로 진행됩니다.
문제는 계약 당시 확정된 줄 알았던 스튜디오, 드레스샵, 메이크업 업체가 이후에 바뀌거나, 옵션 추가로 가격이 달라지는 일이 허다하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계약을 중도 해지하면 과도한 위약금이 발생하거나, 서비스 제공 기준이 애매해 소비자 피해로 이어지곤 했죠. 이른바 ‘깜깜이 계약’은 바로 이런 불투명한 거래 관행을 지칭합니다.
2. 공정위가 내놓은 ‘스드메 표준계약서’란?
2024년,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스드메 표준계약서를 제정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약 내용 및 가격 투명화
- 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 각각의 업체명, 서비스 내용, 가격을 명시
- 예비부부가 최종 결제 금액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함
2) 위약금 기준 구체화
- 중도 해지 시 위약금 부과 기준을 사전에 명확히 안내
- 계약 해지 시점에 따라 업체별로 공정한 환불 기준 적용
3) 불필요한 분쟁 예방
- 계약 변경 또는 해지 관련 사항을 문서로 남겨, 분쟁 소지를 줄임
3. 왜 지금, 스드메 표준계약서일까?
이 표준계약서 제정은 단지 웨딩업계만의 개선책이 아닙니다.
2024년 3월 정부가 발표한 ‘청년친화 서비스 발전방안’의 일환으로, 스드메 계약을 포함한 청년 소비자 대상 서비스 전반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된 정책입니다.
정부는 이 방안에서 다음과 같은 두 분야를 중점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 웹 콘텐츠 분야: 웹툰·웹소설 창작자를 위한 표준계약서 마련과 공정 계약 시스템 구축
- 웨딩·뷰티 서비스 분야: 결혼 관련 서비스의 가격 표시 의무화, 공공 예식장 확대, 과도한 위약금 방지 등을 포함한 제도 개선
즉, 이번 스드메 표준계약서 도입은 단순한 소비자 보호를 넘어,
청년 세대가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하려는 흐름의 일부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이제 예비부부는 스드메 계약서를 받기 전, 표준계약서 사용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예비부부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
1) 계약 전 확인할 사항
- 업체 정보가 계약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가?
- 부가서비스나 옵션에 대한 비용이 명확히 구분돼 있는가?
- 위약금 기준이 명시되어 있는가?
2) 계약 중 확인할 사항
- 업체 변경 시 반드시 서면 동의를 받았는가?
- 추가 비용 발생 시 사전 고지가 있었는가?
3) 계약 후 보관할 자료
- 계약서 원본
- 견적서 및 결제내역
- 카카오톡·문자 등 상담 기록
5. 결혼 준비, 정보가 곧 방패입니다
‘스드메’는 결혼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준비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불투명한 계약으로 인해 그 순간이 스트레스로 바뀌어선 안 됩니다. 스드메 표준계약서는 예비부부가 똑똑하고 안전하게 결혼을 준비할 수 있는 든든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입니다.
표준계약서는 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대한상공회의소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 바로가기
대한상공회의소 바로가기
스드메 표준계약서 원문 보기
공정거래위원회가 제공하는 결혼준비대행업(스드메) 표준계약서입니다.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하고 똑똑하게 준비하세요!
공정위 표준계약서 바로가기 |
1. Q. 스드메 표준계약서는 꼭 받아야 하나요?
A. 네, 필수는 아니지만 강력히 권장됩니다. 표준계약서는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요청 시 거부하는 업체라면 재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Q. 계약서에 업체명이 안 적혀 있는데 괜찮을까요?
A. 위험합니다.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업체명을 명확히 기재하지 않으면 계약 후 업체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Q. 계약 후 마음이 바뀌었어요. 위약금은 얼마나 낼까요?
A. 표준계약서 기준, 계약 해지 시점과 업체 준비 정도에 따라 합리적인 금액이 책정됩니다. 단, 실제 계약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위약금 조항을 꼭 확인하세요.
4. Q. 업체가 계약과 다른 서비스를 제공했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A. 증빙자료(계약서, 문자, 녹취 등)를 확보한 후 소비자상담센터(1372)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표준계약서에선 이런 분쟁 예방을 위한 조항도 포함돼 있습니다.
5. Q. 계약 후 업체가 바뀌었어요. 이건 합법인가요?
A. 본인의 서면 동의 없이 바뀌었다면 불공정 계약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변경 전 반드시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6. Q. 옵션 추가가 자꾸 붙어요. 막을 방법 없나요?
A. 계약서에 옵션 항목이 별도로 명시돼야 하며, 별도 요금에 대한 사전 고지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부당청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7. Q. 계약 전 시안이나 샘플 확인은 꼭 해야 하나요?
A. 꼭 하세요. 특히 드레스나 메이크업은 개인 취향이 크게 작용하므로, 실제 제공될 서비스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Q. 웨딩플래너 없이 직접 계약해도 괜찮을까요?
A. 가능합니다. 오히려 직접 계약 시 가격 구조가 명확한 경우도 많지만, 비교 견적과 충분한 정보 확인이 전제돼야 합니다.
9. Q. 계약 내용을 변경하고 싶을 땐 어떻게 하나요?
A. 계약 변경은 쌍방 합의하에 서면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말로만 주고받는 건 추후 분쟁의 원인이 됩니다.
10. Q. 업체가 계약서를 안 써줘요. 그냥 믿고 가도 될까요?
A. 절대 안 됩니다. 계약서 없이 진행되는 스드메 계약은 깜깜이 피해의 주요 원인입니다. 반드시 서면 계약을 체결하세요.
마무리 TIP
혹시 이미 스드메 계약을 맺었지만, 위약금이나 업체 변경 문제로 고민 중이라면, 소비자상담센터(국번 없이 1372)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결혼은 설렘과 기대가 가득한 시간입니다.
깜깜이 계약 없는 똑똑한 선택으로, 더 빛나는 순간을 준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