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를 2024년 1월27일 ~ 6월 30일까지 시범적으로 운영을 하고 나서 2024년 7월1일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들어간다. 명칭에서 "기후"라는 단어때문에 환경보호와 관련있는 사업이라 생각했고 얼추 맞지 않나 생각든다. 대중교통이용의 활성화가 목적이고 대중교통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면 환경보호에도 이득이 될테니까 말이다.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의 가격, 이용범위, 대중교통수단 ,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기후동행카드 개념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
1회 충전하고 서울시 거의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한달간( 30일 )을 무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시범사업 기간과 내용
기후동행카드는 일단 시범적으로 운영했다가 본사업으로 들어가는 순서이다.
시범기간: 2024년 1월 27일(토요일) ~ 2024년 6월 30일(일요일)
본사업 개시: 2024년 7월 1일~
- 이용 대중교통: 서울지역 지하철 + 김포골드라인,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 이용 제외: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
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 알아보기
https://news.seoul.go.kr/traffic/climatecard-service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범위 검색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범위 검색
news.seoul.go.kr
카드 가격 / 종류 /충전/환불
- 62,000원 권 : 지하철, 버스
- 65,000원 권 : 지하철, 버스, 따릉이(자전거)
기후동행카드 종류는 2가지로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가 있다.
- 모바일카드 :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OS 12 이상에서 사용가능하며 계좌이체 또는 신용/ 체크카드(본인명의) 로 결재 가능하다. 사용방법은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 -> 회원가입 -> 발급/충전
- 실물카드: iOS기반 휴대폰 사용가능하며 현금, 신용카드로 결재가 가능하지만 법인카드는 이용 할 수 없다. 중요한 포인트는 실물카드 발급후 반드시 "티머니 카드 & 페이"에 카드 등록해야 한다. 미등록시 환불 불가능하며 따릉이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실물카드는 1인 1카드 원칙이다. 충전은 서울교통공사(1~8호선),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설치되어 있다.
실물카드 판매처 찾아보기
https://news.seoul.go.kr/traffic/climatecard-shop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처
기후동행카드 판매처 현황
news.seoul.go.kr
- 충전: 카드 충전방법은 충전일로부터 5일이내에 사용개시일을 선택할 수 있다.
- 환불: 사용기간 만료 전 사용잔액 환불 가능하며 수수료는 500원이다.
카드사용방법
한번 충전하면 30일간 사용 가능하다.
- 버스/지하철 사용방법 : 일반 버스 이용방법과 같다. 모바일 또는 실물카드를 승하차시 태그하면 되고 사전에 NFC 설정이 필수이다. 하차시 태그를 2회이상 하지 않은 경우 직전 승차 시간 기준 24시간 사용 정지되니 꼭 잊지말고 하차태그를 해야 한다. (NFC기능이란 Near Field Communication 약자로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써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교통카드, 결재카드, 신분증 등등.)
- 따릉이 : 기후동행카드(모바일카드) 구입후 카드번호를 '티머니 GO' 앱 에 등록하면 2시간 동안 사용 가능하다. 실물카드인 경우는 '티머니 카드 & 페이 홈페이지' 에 등록하면 2시간 이용이 가능하다.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민의 대중교통비 절감차원에서 모범적인 사업이며 지구의 환경보호 차원에서도 박수를 치고 싶다. 많은 서울시민들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기를 바란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동행카드 부가혜택 국립발레단 서울시립과학관 빛의시어터 (1) | 2024.05.10 |
---|---|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0) | 2024.05.09 |
Warren Buffett (워런 버핏)과 AI 성장산업 (1) | 2024.05.07 |
근로장려금 자격 지급일 신청방법 (0) | 2024.05.06 |
복지멤버십 맞춤형급여안내 자격 사업내용 신청방법 (0) | 2024.05.05 |